삶의 진실을 찾아서
[숫타니파타]의 공덕행 본문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불경 가운데 가장 먼저 이루어진 경으로 초기 경전을 대표하는 경으로 남방불교에서 매우 중요시하는 불경이다. 숫타(sutta)는 팔리어로 경(經)이란 말이고 니파타(nipāta)는 모음(集)이란 뜻으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놓은 것이란 뜻이다.
이 경은 ≪법구경≫ 등과 같이 성립된 시기를 인도의 아소카 왕(마우리야 왕조 3대 왕. 재위 BC 268~BC 232) 이전으로 보고 있다. ≪숫타니파타≫는 무엇보다도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경이다. ≪아함경≫보다 먼저 이루어진 경으로 부처의 육성이 제일 먼저 더 생생하게 담겨 있는 경이라 할 수 있다.
자애의 경[Mettasutta]
살아있는 생명이건 어떤 것이나, 동물이거나 식물이거나 남김없이, 기다랗거나 커다란 것이나, 중간 것이거나 짧은 것이거나, 미세하거나 거친 것이거나, 보이는 것이거나 보이지 않는 것이거나, 멀리 사는 것이나 가까이 사는 것이나. 이미 생겨난 것이나 생겨날 것이나, 모든 님들은 행복하여지이다.
서로가 서로를 속이지 말고 헐뜯지도 말지니, 어디서든지 누구든지, 분노 때문이든 증오 때문이든 서로에게 고통을 바라지 않나이다.
어머니가 하나뿐인 아들을 목숨 바쳐 구하듯, 이와 같이 모든 님들을 위하여 자애로운, 한량없는 마음을 닦게 하여지이다.
그리하여 일체의 세계에 대하여 높은 곳으로 깊은 곳으로 넓은 곳으로 장애 없이, 원한 없이, 적의 없이, 자애로운, 한량없는 마음을 닦게 하여지이다.
서있거나 가거나 앉아있거나 누워있거나 깨어있는 한, 자애의 마음이 굳게 새겨지이다.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진정한 삶이옵니다.
삿된 견해에 의존하지 않고 계행을 갖추고, 통찰을 갖추어 감각적인 욕망을 다스리면, 결코 다시 윤회에 들지 않을 것입니다.”
알라바까의 경
[야차 알라바까] “이 세상에서 사람의 으뜸가는 재산은 무엇입니까? 무엇을 잘 추구하면 안락을 가져옵니까? 참으로 맛 중에서 가장 맛있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어떻게 사는 것이 최상의 생활입니까?”
[세존] “이 세상에서 믿음이 사람에게 으뜸가는 재산이고, 가르침을 잘 추구하면 안락을 가져옵니다. 진실이 맛 중의 맛이며, 지혜롭게 사는 것이 최상의 생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야차 알라바까] “사람은 어떻게 거센 흐름을 건넙니까? 어떻게 커다란 바다를 건넙니까? 어떻게 괴로움을 뛰어넘습니까? 그리고 어떻게 완전히 청정해질 수 있습니까?
[세존] “사람은 믿음으로써 거센 흐름을 건너고, 방일하지 않음으로 커다란 바다를 건넙니다. 정진으로 괴로움을 뛰어넘고, 지혜로 완전히 청정해집니다.”
[야차 알라바까] “사람은 어떻게 해서 지혜를 얻습니까? 어떻게 해서 재물을 얻습니까? 어떻게 해서 명성을 떨칩니까? 어떻게 해서 친교를 맺습니까? 또한 어떻게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가서 슬픔을 여의겠습니까?
[세존] “열반에 도달하기 위하여 거룩한 님의 가르침을 믿고 방일하지 않고 현명한 님이라면, 배우려는 열망을 통해 지혜를 얻습니다. 알맞은 일을 하고 멍에를 지고 열심히 노력하는 자는 재물을 얻습니다. 그는 진실함으로써 명성을 떨치고, 보시함으로써 친교를 맺습니다.
가정생활을 하는 신도일지라도, 진실, 진리, 결단, 보시의 이 네 가지 원리를 갖추면, 내세에 가서도 걱정이 없습니다. 그리고 진실, 자제, 보시, 인내보다 이 세상에 더 나은 것이 있다면, 그것을 널리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에게 물어 보시오.”
'☆ 진실의 근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아와 자등명 법등명 (0) | 2015.07.26 |
---|---|
담마파다(법구경)의 공덕행 (0) | 2015.07.26 |
[이띠부따까]의 공덕행 (0) | 2015.07.26 |
12연기 (0) | 2015.07.26 |
인디언 도덕경 (0) | 2015.07.26 |
세상의 주인으로 살아가는 법
진실의 근원 gincil.com